목록전체 글 (196)
min's devlog
크롬 브라우저를 통해 git 원격 저장소(repository)의 주소를 복사하고, 이것을 윈도우에 설치한 Git Bash 쉘에 붙여넣기를 했다.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눌러서 Paste 선택) 그리고 기존의 git 저장소에 원격 저장소를 연결하고 푸쉬를 했더니 에러 메시지가 나왔다. fatal: protocol 'https' is not supported 해당 에러를 검색하기 위해 복사 후 구글 검색창에 붙여넣었더니 이상한 박스가 생겼다. fatal: protocol 'https' is not supported 이 이상한 박스 때문에 에러가 난 것이였다,, 결국 한 글자씩 타이핑해 에러 없이 마칠 수 있었다. 역시 당연하게 생각하는 부분도 실수는 없었는지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다시 배웠다. 출처..

Repository에 'main' branch로 push 하기 의도하지 않았는데도 Branch가 master로 올려지는 오류가 있었다. 깃허브 업로드 코드는 $ git push -u origin master 인데, 이렇게 하면 master 브랜치가 생성된다. 그래서 master 부분을 main으로 바꾸어봤는데 $ git push -u origin main 은 에러가 떴다.. 그래서 이걸 막게하기위해 결국 branch 자체의 이름을 바꿨다! (이렇게 해도 오류가 생긴다면 포스팅 하단으로) //초기설정 $ git config --global user.name "****" $ git config --global user.name "****@gmail.com" //로컬 깃 저장소 생성(.git 폴더 생성) $ ..
Spring Framework의 전역 에러 처리 Spring framework는 전역 에러를 처리하기 위해 아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공되는 interface servlet (webmvc) HandlerExceptionResolver reacitve (webflux) WebExceptionHandler Servlet 전역 에러 처리 HandlerExceptionResolver handlerExceptionResolver는 servlet에서 전역 에러 처리를 하기 위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이다. public interface HandlerExceptionResolver { @Nullable ModelAndView resolveException( 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

applicationContext.xml에서 base-package 값을 다른 패키지 경로로 지정해주면 스프링 빈 등록과 코드실행도 잘 되는데 다른 패키지로 하면 404 에러가 떴다. 콘솔에는 경고만 뜨고 심각은 뜨지 않았다.. 아래는 성공 전까지 시도했던 방법들이다! 1.톰캣 재시작(처음 톰캣 실행이 안되는 에러를 잡을 수 있었지만 404에러는 잡히지 않았다) error: Server Tomcat v7.0 Server at localhost failed to start Servers->톰캣 우클릭->Delete->새 톰캣 서버 만들기 2.maven update 프로젝트 우클릭->Maven->Update Project 3.각종 버전 수정 xml파일에 java version 관련된 값들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C와 Java의 차이점? C는 운영체제에 종속적이다. 소스파일을 -> 기계어(1,0)로 된 프로그램으로 컴파일한다. Java는 운영체제에 독립적이다. 또한 두번의 컴파일 과정을 거친다. JDK 폴더 - bin : binary 파일. 이진파일 > 실행파일 > 프로그램 -주로 쓰는 도구 : java.exe, javac.exe, javadoc.exe Hello World! 1. 메모장에 작성한 코드 - 산출물(결과물) > "Hello.java" > Source Code File - 소스파일은 프로그램이 아닌 텍스트 파일이다. - 프로그래밍 코드를 작성 > 프로그램 완성 > CPU에게 명령어 전달! - 어떤 언어로 구성? > 자바(X) > 사람이 쓰는 언어로 구성(인간) - 소스 파일의 명령어의 실행 주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