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s devlog

[HTML] HTML 구성 요소 본문

til/Front

[HTML] HTML 구성 요소

값진 2022. 5. 25. 15:42

HTML의 문서구조

  - 태그의 트리구조(계층구조)로 되어 있다.

 

<html>
- 문서 전체를 감싸고 루트를 태그하는 역할
- 컨테이너처럼 감쌀 뿐 스스로 하는 일은 없다.

<head>
- 문서의 머릿말 역할
- 브라우저에게 전달할 내용을 작성 (내부 정보)

<body>
- 브라우저에 출력될 내용을 담는 역할
- 사람이 봐야할 내용을 작성하며 출력 정보를 담고 있다.

 

공백 문자 처리

1. 스페이스 표현
- 공백 1글자는 엔티티 1개로 취급한다.
- &nbsp; > &표현; > 출력할 때 공백 1개로 바꿔서 출력 > non-break space
2. 개행문자 표현
- <br> 태그 사용
- \r\n 역할
- line break


* 웹 문서에는 탭의 개념이 없다.

 

 

HTML 언어 구성 요소

  • 태그(Tag), 엘리먼트(Element)
  • 속성(Attribute)
  • 텍스트(PCDATA)
  • 엔티티(Entity)
  • 주석(Comment)
  • 선언문(Declaration)
  • 외부 요소 등..

 

1. 태그(Tag), 엘리먼트(Element)

- 예약어(명령어)를 <>로 묶어놓은 요소로, 출력될 웹페이지의 골격을 형성한다.
     a. 레이아웃 형성
     b. 요소를 배치
        - 출력과 관계된 행동을 한다.

1.1 태그 표현 방식
     a. <태그명>내용물 영역</태그명>
         - 쌍태그
         - <태그명>: 시작태그
         - </태그명>: 끝태그
         - 영역을 가지는 태그
    b. <태그명>, <태그명 />, <태그명></태그명>
         - 단독태그, 빈태그(Empty Tag)
         - 영역을 가지지 않는 태그

1.2 태그 내용물 형식, Content Type
     - <태그>내용물</태그>
     a. 자식태그
          - 또 다른 태그들이 내용물로 구성된다.
          - 문자열은 올 수 없다.
     b. PCDATA
          - 문자열만 올 수 있으며 자식 태그는 올 수 없다.
     c. Empty
          - 아무것도 가지지 않는다. > 빈태그, 단독태그
     d. Mixed
          - 자식으로 태그와 문자열이 모두 올 수 있다.
          - HTML 태그 대부분의 혼합형이다.
 
2. 속성(Attribute)

- 태그의 성질의 정의하는 요소
- 태그가 가지는 데이터의 한 종류
- 용도: 태그의 성질을 지정하는 데이터
- 표기법
     a. <시작태그 속성명="값"></끝태그>
         <시작태그 속성명="값" 속성명="값" 속성명="값"></끝태그>
     b. <단독태그 속성명="값">

     c. <시작태그 속성명="값"></끝태그> : 사용O
     d. <시작태그 속성명='값'></끝태그> : 사용O
     e. <시작태그 속성명=값></끝태그>   : 사용X

3. 텍스트(PCDATA)
- 태그가 가지는 데이터의 한 종류
- 용도: 화면에 출력하는 데이터
- Parsed Character Data > 브라우저 해석하는 영역의 문자열

4. 엔티티(Entity)
- 브라우저와 정해진 약속이 되어있는 표현 > 약속된 표현을 작성하면 브라우저가 화면에 출력하기 전에 약속된 출력으로

  바꿔서 출력한다. > Built-in Entity
- 치환
- &엔티티명;
- &nbsp; -> 공백 1개
- &lt; -> (<) less than
- &gt; -> (>) greater than
- &#문자코드;

 

'til > Fro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reset, normalize  (0) 2022.05.30
[CSS] Block,Inline  (0) 2022.05.27
[CSS] 박스 모델(Box Model)  (0) 2022.05.27
[CSS] HTML 문서에 CSS 적용  (0) 2022.05.25
[HTML] HTML 기초  (0) 2022.05.2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