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Linux (45)
min's devlog
라즈베리파이 개발을 위해 Wifi를 이용해여 노트북과 라즈베리파이를 원격연결한다. 방법은 라즈베리파이 전용 모니터를 구입하여 개발하거나, LAN선을 이용하여 노트북과 연결하거나, 핫스팟 Wifi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조건명령어 $ 명령1 && 명령2 && 명령3 && .....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실행하되, 명령 실행에 실패할 경우 뒤에 오는 명령은 실행하지 않는다. 앞 명령이 성공하면 계속 실행 실패할때 까지 $ 명령1 || 명령2 || 명령3 || .....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실행하되, 명령 실행에 성공하면 뒤에 오는 명령을 실행하지 않는다. 실패시 계속? 성공할때까지 $ 명령1 ; 명령2 ; 명령3 ; .... 하나의 라인에 주어진 명령어들을 성공,실패와 관련 없이 전부 실행한다. (1) 입력 재지정 : 키보드로 부터 입력받은 것을 파일에 작성하게 하는 것 명령어 > 파일 명령어의 표준출력을 모니터 대신 파일에 저장한다. cat 파일1 파일2 > 파일3 : 파일1과 파일2의 내용을 붙여 새로운 파일3을 만..
전면처리 $ 명령어 명령어를 입력하면 쉘에서 명령어를 기다리는 것 후면처리 $ 명령어 & 명령어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것 sleep 1000 : 1000초 멈춤 [1] Running sleep 1000 & [2]- Running sleep 2000 & [3]+ Running sleep 3000 & [1]+ Stopped sleep 1000 에서 stopped : cpu 할당을 못받음 정지되어 있는 ‘sleep 1000'을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실행하라 : bg [1]+ sleep 1000 & foreground 간다음에 ctrl z 로 멈추게 하고 bg치면 백그라운드로 실행된다. + : 가장 최근에 백그라운드에 들어간 작업

쉘 - 명령어 처리기 (command processor) - 사용자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한다. ($이 쉘이다) bash는 쉘의 한 종류이다. 로그인 시 bash 라는 프로세스가 항상 돌고 있다. prompt에서 명령어를 기다린다. (검색결과 쉘과 bash를 큰 구분 없이 쓰기도 한다)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 쉘의 종류 - 쉘은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shell script라고 한다. - script 라는 단어는 해석과 동시에 바로 시작한다는 뜻을 가졌다. (간략히 의미만 알고 넘어가기) -현재 /bin/bash 의 Bash 쉘을 사용중이다. 로그인 쉘 로그인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쉘

링크 기존 파일에 대한 또 하나의 새로운 이름이 생긴다. ln -s 파일1 파일2 //파일 1에 대한 새로운 이름(링크)으로 파일2를 만들어준다 (-s 는 심볼릭 링크) ln -s 파일1 디렉터리 //파일 1에 대한 링크를 지정된 디렉터리에 같은 이름으로 만들어준다. 예) 하드디스크에 hello.txt 가 있는데, hi.txt를 원본파일 hello.txt인것 처럼 사용할 수 있다. hard link ln hello.txt hi.txt 실행 결과 hi.txt가 생기며, 원본파일의 내용도 동일하다. 하나의 파일을 두개의 이름으로 공유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 크기와 파일개수, i노드번호도 동일하다. hi.txt를 수정하면 원본파일 또한 수정된다. 단, 원본파일을 삭제해도 hi 가 지워지진 않는다. (..